곡성 동악산 2013. 10. 13.
평정산악회 10월 정기산행은 아침 7시 23분 공주를 떠나 서논산 나들목을 향한다.
7시 57분 고속국도로 진입하여 오늘 일정이 시작된다.
날씨는 쾌청하였으며 등로는 좋았으나 상당히 오르내림이 가팔랐다. 들머리나 날머리의
계곡도 좋아 여름철 피서지로는 상당히 좋을 것 같다.
1. 산행일자 : 2013년 10월 13일 (두번째 일요일)
2. 산 행 지 : 전라남도 곡성군 동악산 (745m)
3. 산행인원 : 35명.
4. 산행거리 : 9.85km(도림사 안내도 기준) + 접속로 약 0.7km = 10.55km
5. 산행시간 : 4시간 44분.
001. 여산휴게소 8시 11분 ~ 8시 27분.
002. 청계동계곡 입구 9시 41분 도착, 섬진강을 만나다.
003. 등반대장의 산행노선 설명 중.
004. 청계동계곡 관리사무소 9시 55분 출발.
005.
006.
007.
008.
009.
010.
011.
012.
013. 폭포.
014. 이 계류를 건넌다.
015. 폭포 뒷산.
016. 당겨 본 풍경.
017. 건너온 계류.
018. 계류를 건너서 본 폭포.
019. 순창 아니면 남원방향.
020.
021.
022. 지나온 봉우리와 뒷편의 봉우리(고리봉-확실하지는 않음)
023. 첫 암봉을 우회하며 오르는 길에 본 풍경.
024. 계단구간 10시 40분.
025. 남원 ~ 곡성시내 사이.
026. 암봉을 올라서 본 풍경. 저 넘어로는 순창에서 남원방향.
027. 다른 폭포가 보여 당겨 보았다.
028. 곡성시내 방향 풍경.
029.
030.
031.
032.
033.
034.
035.
036.
037. 급경사 올라 만난 소나무.
038.
039. 당겨 본 곡성시내.
040.
041.
042.
043. 로프에 매달려 올라온 암릉.
044.
045.
046.
047.
048. 순창에서 남원방향.
049.
050. 암장이 있어 찍어 보았다.
051. 광주에서 순창방면.
052. 안내판있는 봉우리. 11시 54분.
053. 태풍에 넘어진 소나무들.
054. 왼쪽 봉우리가 정상.
055. 헬리패드장에서 조망한 순창에서 남원방향.
056.
057. 정상이 보인다.
058. 화순벙향.
059. 정상에 이르는 높이가 높은 계단, 다리가 짧은 산객들은 어려울 듯.
060. 계단을 오르며 본 풍경, 아래에 곡성수원지가 보인다.
061. 지도상 가운데가 촛대봉 같다.
062. 담양에서 광주방향.
063. 광주에서 순창방향.
064. 정상이 보인다.
065. 정상 12시 32분.
066. 정상 옆 봉에서 식당을 차리고 점심 12시 36분 ~ 12시 52분. 식당터에서 보이는 삼기면.
067. 삼기면과 곡성읍내 사이의 들판.
068. 식당터 봉 아래.
069. 식당터 봉에서 본 담양과 화순사이 방향.
070. 오늘 목적지 도림사를 당겨 보았다.
071. 삼기면 들판을 보고 13시 출발.
072. 용담.
073. 뒤돌아 본 정상 옆봉.
074.
075. 지나온 방향.
076. 이정표 13시 14분. 도림사방향으로 진행. 이후 만나는 이정표에서도 직진.
077. 정상.
078. 너덜지대 13시 35분.
079.
080.
081.
082.
083.
084.
085.
086.
087.
088. 도림사 직전의 안내도 14시 25분.
089.
090.
091.
092. 글씨가 보여 당겼더니...
093. 낙낙대라 새겼다.
094.
095.
096.
097. 상가지대 좀 지나 버스에 도착 14시 39분.
098. 뒷풀이 후 16시 6분 출발하여 곡성 나들목을 16시 39분 진입 오수휴게소 16시 52분 ~
17시 10분.
099. 오수휴게소 쉼터, 남공주나들목을 18시 17분 나와 웅진동에 도착하여 일정을 마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