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화성 1 (팔달문 ~ 동북각루) 2014. 09. 14.
아침에 일어나려니 온 몸이 뻐근하다. 8시 넘어 일어나 처제가 해준 아침을 먹고 동서가 차로
팔달문까지 데려다 준다. 오래전 모임이 수원에서 있어 한번 다녀간 적이 있었는데 많이 복원이
되었고 조상의 숨결을 느끼며 걸으면서 건강까지 얻을 수 있어 정말 좋은 곳이라 생각한다.
팔달문에서 출발하여 행궁 신풍루까지 약 6.1km를 5시간 걸렸다.
001. 수원화성을 보려면 곳곳에 있는 안내소에서 1인당 1,000원을 내고 스티커를 사야합니다.
행궁은 별도 요금이 따로 있습니다.
002. 팔달문 뒷편에 도착, 골목길 위로 보니 성벽이 보인다. 10시 2분 팔달문을 빙돌아 간다.
003. 서쪽면.
004. 전면.
005. 팔달시장을 지나 남수문부근에서 시작한다.
006. 왼쪽 저문으로 가면서 남수문 위로 지나야 하는데 문이 잠겼다. 길로 내려서 계단으로
올라 진행한다.
007. 동남각루.
008. 뒤돌아 본 남수문 쪽.
009. 동남각루, 화성에는 4개의 각루가 있다.
010.
011. 동삼치, 화성에는 10개가 있는데 지붕은 없이 성벽에 돌출된 부분.
012. 동삼치에서 동이포루로 가는 길.
013. 화성에는 포루가 5개소 있는데 동이포루는 정조20년(1796년) 완공되었다 합니다.
중간에 이런 누각이 많아 신을 벗고 쉬기가 좋습니다.
014. 동이포루에서 동삼치(출발방향) 조망.
015. 동이포루에서 봉돈방향.
016. 봉돈(봉화대) 정조20년(1796년) 6월 17일 완성, 10시 32분.
017. 내부.
018. 뒤돌아 본 봉돈.
019. 동포루가 보인다.
020. 동포루, 화성에는 5개의 포루가 있다고 함.
021. 동포루에서 동포루와 봉돈 사이의 동이치 조망
022. 동포루에서 동일치 조망.
023. 암문에서 밖으로 나와 동일치 조망.
024. 밖에서 본 동포루.
025. 동일포루 정조20년(1796년) 7월 10일 완공. 10시 50분.
026. 동일포루 내부.
027. 동일포루에서 본 창룡문(동문).
028. 당겨서 본 창룡문.
029. 창룡문 - 동문으로 정조19년 (1795년) 5월 8일 ~ 10월 17일 완공.
030. 대문과 옹성 사이에서 본 편액.
031. 창룡문과 창룡문을 보호하기 위한 옹성.
032. 누군가 연을 날리고 있다. 나중에 보니 아버지가 어린 아들을 즐겁게 하려고 연을 날리고
있었다.
033.
034. 성벽 왼쪽의 축성의 실명인증.
035. 창룡문을 지나 본 풍경.
036. 창룡문을 지나면서 보이는 연무대(동장대).
037. 당겨서 본 연무대.
038. 동북노대, 화성에 서노대와 2개소, 다연발 쇠뇌를 쏘는 곳이라 되었다.
039. 동북노대를 지나니 동북공돈심이 보인다.
040. 동북공돈심. 이곳은 정조20년 (1796년) 7월 19일 완성, 망루용도로 쓰였으며 화성에는
3개소가 있다.
041. 뒤돌아 보며 창룡문을 당겨 보았다.
042. 연무대.
043. 뒤돌아 본 동북공돈심.
044.
045. 연무대(동장대) 11시 25분. 화성의 주둔군 장용외영의 군사지휘소로 서장대와 2개소.
무예수련장으로 쓰였고 정조19년 (1795년) 7월 5일 ~ 8월 25일 완공.
046.
047. 수문규칙이란 내용이 있다. 수원 유수였던 체제공의 수결도 보인다. 번암 체제공은 숙종
46년(1720년) ~ 정조23년(1799년)의 인물로 영조때 급제를 하여 영의정까지 지내신 분으로
정조가 세손이었을 때 세손우빈객으로 교육을 담당하여 정조와 아주 밀접하게 지내셨단다.
학문이 높으시고 청렴과 능력이 출중하시어 영,정조 시절 국가를 위하여 헌신하시었다고...!
048. 연무대를 떠나면서 본 모습.
049. 연무대 옆의 안내도.
050. 동북포루(각건대).
051.
052. 동북포루 직전에 있는 동암문. 화성에는 암문이 5개소가 있는데 적군 몰래 물자나 인력이
다닐 수 있도록 만든 곳이란다. 암문 주변에는 암문을 보호하기 위한 포루가 있다.
이곳은 정조20년 (1796년) 3월 25일 완공되었다.
053. 동북포루 가면서 뒤돌아 본 가운데 동장대와 오른쪽 끝의 동암문.
054. 동북포루.
055. 동북포루에서 본 동북공돈심과 동장대, 가운데 가정집 있는 곳이 동암문.
056. 동북포루.
057. 동북포루에서 본 동북각루(방화수류정).
058. 당겨서 본 동북각루(방화수류정).
059.
060. 동북각루 직전의 북암문, 정조20년 (1796년) 3월 27일 완공.
061. 북암문 밖으로 나와 본 동북포루(각건대).
062. 조금 당겨서 본 모습.
063. 동북각루(방화수류정).
064.
065. 북암문.
066. 동북각루(방화수류정), 지휘소와 쉼터를 겸용하는 곳. 정조18년 (1794년) 10월 19일 완공.
067. 동북각루에서 본 동북포루.
068. 바로 아래의 연못.
069. 화홍문.
070. 동북각루에서 본 수원천.